반응형

SILVER Ⅴ 5

백준 BAEKJOON 30088번 공포의 면담실 [PYTHON/파이썬]

백준 BAEKJOON 30088번 공포의 면담실 [PYTHON/파이썬] (SILVER Ⅴ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0088 30088번: 공포의 면담실 부서 $1$에는 $2$명의 직원이 있고 각 직원의 면담 소요 시간은 $5$분, $50$분이다. 부서 $2$에는 $2$명의 직원이 있고 각 직원의 면담 소요 시간은 $20$분, $10$분이다. 부서 $3$에는 $1$명의 직원이 있고 www.acmicpc.net 누적합 2개를 이용해서 풀었다. 기존의 면담 시간 배열을 누적합 S1 배열에 담고 누적합 S1배열을 누적합 S2로 담았다.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) A = [0] for i in range(1..

백준 BAEKJOON 29615번 알파빌과 베타빌 [PYTHON/파이썬]

백준 BAEKJOON 29615번 알파빌과 베타빌 [PYTHON/파이썬] (SILVER Ⅴ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9615 29615번: 알파빌과 베타빌 $1$번과 $3$번을 바꾸고 $2$번과 $4$번을 바꾸면 $3\,4\,1\,2\,5$가 되어 모든 친구들이 먼저 입주할 수 있다. www.acmicpc.net 친구의 수가 몇 명인지 파악 후 명단의 앞에서부터 친구의 유무를 확인해 주면 된다. 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citizenList = input().split() friends = input().split() result = 0 for c in citizenList[:M]: if c not in friends: result +..

백준 BAEKJOON 29723번 브실이의 입시전략 [PYTHON/파이썬]

백준 BAEKJOON 29723번 브실이의 입시전략 [PYTHON/파이썬] (SILVER Ⅴ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9723 29723번: 브실이의 입시전략 첫 번째 줄에 브실이가 수강한 과목 수 $N$과 브실대학에서 요구하는 과목 수 $M$, 그리고 브실대학에서 공개한 과목 수 $K$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. $(1 \le K \le M \le N \le 10\,000)$ 그다음 $N$줄 www.acmicpc.net 딕셔너리로 구현하여 풀었다. 먼저 브실이가 수강한 과목을 딕셔너리로 만든 후 브실대학에서 공개한 과목의 점수를 더한 뒤 딕셔너리에서 삭제시켰다. 그리고 딕셔너리를 점수를 기준으로 잡고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뒤 브실대학에서 요구하는 과목 수가 있기 때..

백준 BAEKJOON 28445번 알록달록 앵무새 [PYTHON/파이썬]

백준 BAEKJOON 28445번 알록달록 앵무새 [PYTHON/파이썬] (SILVER Ⅴ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8445 28445번: 알록달록 앵무새 재현이가 키우는 앵무새 포포와 레몬이는 그동안 새끼들을 참 많이도 낳았다. 그렇게 태어난 앵무새들을 관찰하며 재현이는 앵무새들의 색에 간단한 규칙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. 그것은 바로 www.acmicpc.net 중복된 색을 제외해야하기 때문에 set 집합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었다. colors = set() for _ in range(2): parents = input().split() for p in parents: colors.add(p) birdColor_lst = sorted(list(colors)) # 사..

백준 BAEKJOON 27964번 콰트로치즈피자 [PYTHON/파이썬]

백준 BAEKJOON 27964번 콰트로치즈피자 [PYTHON/파이썬] (SILVER Ⅴ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7964 27964번: 콰트로치즈피자 치즈와 피자에 환장하는 비행씨는 매일같이 치즈피자를 사 먹다가 지갑이 거덜 나고 말았다. 만들어 먹는 것이 사 먹는 것보다 싸다는 것을 안 비행씨는 여러 가지 토핑을 가져와서 직접 피자를 www.acmicpc.net 문자열 비교에는 완전 일치, 부분 일치, 전방 일치, 후방 일치가 있는데 우리는 후방 일치를 사용하면 된다. endswith() 메서드를 사용하여 쉽게 풀었다. N = int(input()) topping = list(input().split()) quattro = set() # 빈 set 집합 for t ..

반응형